장애 분야 신간도서
-
나는 안내견이야
저자 : 표영민 글 ; 조원희 그림 발행처 : 한울림스페셜 발행년 : 2022.09
안내견의 눈으로 바라본 시각장애인의 하루
《나는 안내견이야》는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의 산책길을 따라가는 그림책입니다. 산책길은 즐겁고 신나지만, 때로는 난처하고 어쩔 수 없는 상황을 마주칠 때도 많아요. 그래도 안내견은 한눈팔지 않습니다. 앞을 못 보는 파트너가 부딪히지 않게, 넘어지지 않게 함께 가는 길에만 집중하..
-
평범하게 행복할 용기 : 장애 아이를 둔 부부들의 리얼 상담기
저자 : 이계윤 발행처 : 비공 발행년 : 2022.09
드라마와는 다른 우리 금쪽이,
내 주변엔 없는 국민 멘토,
이렇게 힘든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?
장애 아이와 함께 살아가는
엄마, 아빠, 누나, 오빠, 이모, 삼촌, 선생님 모두에게.
잃어버린 나를 찾고,
너와 함께하는 평범한 행복을 포기하고 싶지 않은 당신에게.<..
-
신경다양성 교실 : 단 한 명도 놓치지 않는 통합교육의 시작
저자 : 김명희 발행처 : 새로온봄 발행년 : 2022.09
신경다양성 개념을 교육에 적용한 국내 첫 사례
(ADHD, 선택적 함묵증, 경계선 지능, 난독증, 자폐성 장애, 지적 장애 학생의 교실 이야기)
모든 교실에 영감을 불러일으킬 새로운 교육 이야기
(기존의 장애/결핍 중심을 넘어 다양성/강점 중심으로 접근)
.. -
교실에서 별을 만나다 : 행동문제를 보이는 한 아이 어떻게 도울 것인가?
저자 : 문수정, 최경희 발행처 : 좋은교사 발행년 : 2022.08
이 책의 공동저자 문수정, 최경희 선생님은 교직경력 20년 동안 ADHD, 우울, 반항장애, 품행장애, 아스퍼거 등 정서행동 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을 만나왔다. 이 학생들을 돕기 위해 다양한 생활지도 방법을 적용해 보았지만 속절없이 무너져 태풍을 만나기도 했다. 그래서 맨땅에 헤딩하듯이 상담, 임상심리, 행동분석 등을 공부하고, 좋은교사운동 위기학생연구..
-
슬픔은 원샷, 매일이 맑음 : 시각장애인 유튜버 원샷한솔의 유쾌한 반전 라이프
저자 : 김한솔 발행처 : 위즈덤하우스 발행년 : 2022.09
“우리는 분명 좋은 날을 향해 나아가고 있어”
실명의 아픔을 딛고 빛을 찾기까지, 김한솔의 삶을 바꾼 모든 순간들
거침없고 유쾌한 삶의 태도로 42만 구독자에게 사랑받는 유튜버, 원샷한솔의 첫 번째 에세이가 전격 출간됐다. 우울하고, 무기력하고, 도움을 필요로 하거나 억지 감동을..
-
(문제행동 뒤에 숨어 있는) 트라우마 : 지적장애인을 위한 트라우마 기반 행동중재
저자 : Karyn Harvey 글 ; 강영심, 손성화 번역 발행처 : 학지사 발행년 : 2022.09
지적장애인이 트라우마에서 회복하면 행동이 변하고 행복이 시작된다.모든 인간은 다양한 트라우마를 겪으며 살아간다. 트라우마는 언제, 어디서,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. 우리..푸르게 푸르게 서 있고 싶다저자 : 고양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발행처 : 퍼플 발행년 : 2022.09
이 작품집에는 장애인으로 살아가면서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웃과 일상의 이야기들이 신선한 감동과 감흥을 안겨준다.
특히 장애인과 비장애인, 그리고..
꼭 안으면 들리는 : 장애에 대한 옳은 질문을 던지는 환상 동화저자 : 로르 몽루부 글 ; 김영신 번역 발행처 : 그린애플 발행년 : 2022.09
포옹으로 듣는 아이, 올가의 특별한 모험!
《꼭 안으면 들리는》의 주인공 올가는 청각 장애인이다.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올가는 엄마와 ..
학교 가는 길 : 서진학교, 17년의 기다림과 장애인권 이야기저자 : 김정인, 발달장애인 부모 7인 발행처 : 책폴 발행년 : 2022.09
17년간의 소외와 편견, 차별의 아픔을 딛고 마침내 지어 올린 ‘기적의 학교’
다큐멘터리가 끝난 뒤,
그 길 위에서 다시 시작된 아주 오래된 여정을 써 내려가다
2017년, 장애 학생 부모가 무릎을 꿇은 사진 한 장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. 강서지역 공립특수학교 신설..
기울어진 미술관 : 이유리의 그림 속 권력 이야기저자 : 이유리 발행처 : 한겨레출판사 발행년 : 2022.08
“명작을 그려낸 화가인가,
시대와 권력자가 띄운 ‘선량한’ 차별주의자인가”
《캔버스를 찢고 나온 여자들》 이유리 작가가 풀어내는 그림 속 권력 이야기